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WSL

Linux 인터넷 연결

우연치 않게 아두이노수준의 칩셋을 얻어서 리눅스를 설치했다.

PC라고 부르기엔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

우분투를 설치했고, 인터넷 연결부터 삽질 거하게 해야 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터 활성화 해야지

vi /etc/network/interfaces

i 를 누르면 insert mode로 편집이 가능하다. 편집이 끝나면 esc누르고 :wq로 저장하기.

라우터로부터 ip를 할당 받기 위해서 dhcp로, 재부팅시 mac이 바뀌는 경우가 있었고, mac고정을 위해 hwaddress 명령어도 붙였다. 여러분은 필요 없을 수 도 있다. dns는 8.8.8.8 혹은 8.8.4.4 구글것을 써도 되고, 통신사나 네트워크 관리자가 설정해주는 것으로 설정하면 된다.

하지만. 인터넷이 안되네?

네임서버가 문제인가 싶어서

vi /etc/resolv.conf

www.google.com에 핑을 던져봤다. 안되는군... 8.8.8.8에 던져봤다. 안되는군. 네임스페이스가 문제가 아니다.
근데 ping 8.8.8.8 명령에 대한 응답이 10.6.5.0 으로 network is unreachable 라는 문구가 나온다.

게이트웨이는 분명 192.168.1.1로 설정했는데 말이다.

다음 명령어로 기본게이트웨이 설정을 해줬다.

sudo route add default gateway 192.168.1.1 dev eth0

일시적으로 기본게이트웨이가 설정되는가 싶더만 reboot하면 도르마무가 되는게 아니던가?

sudo vi /etc/rc.local

부팅시 기본게이트웨이를 지정하도록 변경.
됏다! 이제 apt 명령어 사용가능!

그래 이제 잊지말고 잘하자...

 

긴급수정 ## /etc/resolv.conf를 수정해도

systemctl enable resolvconf.service #도메인 사용가능
systemctl start resolvconf.service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tus resolvconf.service #상태확인


명령어를 쳐줘야하는 경우가 있음.